[스마트 팩토리]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스마트 팩토리 견학
- IT/4차 산업혁명
- 2018. 7. 24. 00:08
동아대학교 스마트 팩토리 견학
▲ 동아대학교 창업관에 위치한 스마트 팩토리입니다. 하나의 공정이 아니라 다른 분야의 공정들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책이나 논문 또는 미디어로만 접하는 스마트 팩토리가 아니라 실제로 스마트 팩토리가 무엇인지 눈으로 보고, 체험할 수 있는 곳입니다. 저는 대학원 수업 중 스마트 팩토리 연구를 진행하고 계시는 교수님 수업을 들으면서 직접 요청하여 견학의 기회를 얻었습니다.
스마트 팩토리 공정 과정
▲ 스마트 팩토리 공정 과정입니다. 1분 정도의 짧은 동영상이지만, 대략적인 개념은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첫 공정은 기계가 스스로 부품들을 제조 공정에 올려놓는 과정입니다. 필요한 부품을 집어서 올려놓으면 다음 공정으로 이동 시킵니니다.
▲ 이 장면은 완성된 부품이 불량인지 아닌지 체크하는 단계 입니다. 전체적인 공정의 흐름은 동영상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 전체 진행 중인 공정은 하나의 모니터를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견학을 위해 2개의 부품을 생산하는게 생산 목표입니다. 기계에 보면 IoT 센서가 다양한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 센서들이 중앙 관제 시스템에 상태 정보를 전달합니다.
▲ 저 화면을 통해 전체적인 생산 공정을 컨트롤 합니다. 아직까지 컴퓨터나 모바일을 통한 중앙 통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어렵다고 합니다. 지금 학교에 있는 스마트 팩토리 공정은 제조 회사(스마트 팩토리)가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벗어난 공정은 불가능합니다. 약간의 오류만 발생해도 전체 공정이 멈추는 문제가 있습니다. 오차에 대한 범위를 지정해서 해당 문제를 해결해야 됩니다. 그리고 교수님께서 가장 강조하신 부분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과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이였습니다. PLC를 통해
기계들이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듭니다. 그리고 스마트 팩토리에 특화된 MES를 통해 중앙 관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아직 우리나라는 기초적인 기술이 부족해 독일에서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도 수입을 하는 실정입니다.
▲ 스마트 팩토리는 단순한 제조만을 위한 개념이 아닙니다. 스마트 팩토리는 ERP, SCM, MES, POP(Point of Product) 등 다양한 시스템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전체적인 공정이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해서 끊김 없이 공정이 계속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위의 사진이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창업관에서 찍은 전망입니다. 낙동강이 보이는 매우 아름다운 전망입니다.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에 가장 위 쪽에 위치하다보니, 공부도 하고 아름다운 전망도 보고 일석 이조인 것 같습니다. 스마트 팩토리에 관심에 있으시다면, 책으로만 접하는 것보다 가까운 스마트 팩토리를 운영하는 곳을 찾아서 견학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IT > 4차 산업혁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 산업혁명은 무엇인가? (0) | 2018.04.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