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 구조적 공통점 및 차이
- IT
- 2018. 5. 5. 18:11
■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구조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공개 블록체인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공개 블록체인이나,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블록체인에서 분화된 것입니다. 그리고 사용 목적에 따라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개인 블록체인은 가장 큰 특징은 처음 합의된 참여자들이 합의를 통해서 블록체인이 운영되는 것입니다. 이 부분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집니다. 공개 블록체인에서는 참여자 모두가 읽고, 합의에 참여하는 등 모든 권한을 가집니다. 그러나 개인 블록체에서는 여러 권한을 모두에게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들마다 권한을 다르게 부여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서 권한을 부여받은 참여자만 자신의 권한에 맞는 수준의 활동이 가능하게 됩니다. 그래서 개인 블록체인에서는 데이터의 프라이버시가 필요한 부분을 지킬수 있습니다.
■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현황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는 같이 블록체인을 운영하는 주체들이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그리고 블록체인에의 참여자들의 신원이 공개됩니다. 대표적인 예시가 R3 컨소시엄입니다. R3 컨소시엄에는 많은 기업들이 참가하고 있습니다. 2017년 기준으로 R3 컨소시엄은 3년이 되었습니다. 현제 세계 최대의 블록체인 컨소시엄으로 협력 업체가 60여개로 늘었습니다. 대표적인 참여기업으로 글로벌 IT 기업인 인텔, 마이크로소프트등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R3 컨소시엄은 그들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블록체인인 코다(Corda)를 출시 했습니다. 이렇게 블록체인을 운영하는 주체가 누구인지 공개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운영되는 시스템에 대한 책임에 대한 부분이 분명해집니다. 불의의 사고나, 해킹과 같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 법적 책임을 부과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권한을 부여 받은 참여자들은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변경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권한을 부여받은 참여자가 공개 블록체인만큼 많지 않기 때문에 블록체인을 운영하는 거버넌스를 좀 더 수월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의사소통을 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이점이 있습니다.
■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신뢰 보증
개인 블록체인 기술도 공개 블록체인 기술과 공통점도 있습니다. 신뢰를 보증하는 중개자 없는 암호 네트워크를 채택합니다. 블록체인 자체가 신뢰를 보증하는 중개자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블록체인에서는 또 다른 신뢰를 보증하는 주체가 필요가 없습니다. 블록체인을 운영하는 참여자들은 신뢰를 보증하는 또 다른 주체가 아닙니다. 블록체인의 시스템을 운영하는 주체들은 단순히 시스템을 유지, 보수하고 블록체인 시스템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수준입니다. 이들은 블록체인 시스템을 소유하지 않습니다. 블록체인 자체가 합의와 검증의 알고리즘을 제공하고 참여자들이 이 알고리즘을 신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기존의 신뢰를 보증하는 주체가 블록체인의 알고리즘에 대한 신뢰로 대체 된 것입니다. 개인 블록체인에서도 합의가 매우 중요합니다. 합의를 어떻게 할 것인가 대한 것에서 거래 내역에 대한 데이터 무결성을 검증합니다. 합의 구조를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산업 분야의 특성에 맞게 설계되었다면, 그 블록체인은 참여자들이 원하는 바를 충실히 이행할 것입니다.
개인 블록체인도 해시를 통한 보안을 합니다. 블록체인에서 해시라는 암호학적인 부분을 활용합니다. 해시란 주어진 데이터를 암호 알고리즘을 통하여 특정한 길의의 랜덤 값으로 치환하는 기법입니다. 원본 데이터에 조금이라도 변화가 생기면 해시 알고리즘 때문에 그 데이터는 다른 값으로 변환되어 버립니다. 모든 거래내역이 이렇게 해시화 됩니다. 그리고 변경 사항이 발생하면 그 즉시 추적할 수 있게 시스템이 제공합니다. 공개 블록체인과 개인 블록체인 모두 이러한 보안 방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승인 도전 (0) | 2018.05.08 |
---|---|
리플코인 네트워크와 리플코인 발행량 (0) | 2018.05.06 |
리플코인의 구조와 작동원리 (0) | 2018.05.05 |
리플 코인이란 무엇인가? (0) | 2018.05.05 |
프라이밋 블록체인이란 (0) | 2018.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