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코인 네트워크와 리플코인 발행량
- IT
- 2018. 5. 6. 20:26
■ 리플코인의 구조
리플 네트워크는 공개형 블록체인을 채택했습니다. 리플 코인을 소유하면 누구나 리플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접근성이 좋은 네트워크는 접근성이 좋다는 장점이 다른 면에서 보면 문제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네트워크에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공격자들이 네트워크에 부하를 주려는 시도를 했을 때 네트워크가 공격받을 확률도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한번의 거래에서 1,000 만원의 거래를 할 수 있지만, 1000만원을 최소거래 단위로 분할해서 거래 횟수를 고의적으로 늘려 네트워크에 과부화를 줘서 전체 네트워크의 거래 속도에 방해를 줄 수 있습니다. 리플 네트워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리플 계정에 원장을 등록할 때 준비금 형식으로 리플 코인을 소비하게 하면서 상쇄시키려고 했습니다. 이 때 준비금은 50리플 코인으로 처음 리플코인이 발행되었을 땐 매우 적은 금액이였습니다. 그러나 리플코인의 가격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50리플이라는 준비금도 적은 액수가 아니라는 점이 문제점이 되고 있습니다. 이 부분도 리플코인에 대해서 생각해봐야 될 점 같습니다. 준비금에 대한 부분은 일반적인 사용자들에게는 크게 생각할 부분이 아닙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할 것과 같이 시스템에 과부하를 주기위한 고의적인 대량의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려는 것이 목적이라면 치명적인 조건입니다. 리플 네트워크를 통해 트랜잭션이 발생하고 처리될 때 마다 0.00001 리플 코인이 파괴됩니다. 이때 파괴되는 리플코인은 누군가에게 지급하는 수수료가 아닙니다. 트랜잭션에 들어가는 비용은 일반적인 사용자들에게는 큰 부분이 아닙니다. 그러나 리플 네트워크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는 꼭 필요한 기능입니다. 그래서 리플 네트워크를 공격하는 것은 공격자도 경제적인 손실을 감수해야합니다.
■ 리플코인 발행량
리플코인은 일종의 중개 통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래를 원하는 A, B가 있다고 있습니다. 이 A, B가 거래를 원하는 통화가 현재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 때 리플코인이 중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A는 미국 달러를 찾고 있고, B는 유로화를 찾고 있습니다. 서로 다른 통화를 원하는데 이 때 리플코인을 중간 거래 수단으로 활용한다면, 거래를 진행할 때 보다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리플코인이 단순한 금융 플랫폼을 위한 가상화폐가 아니라 일반적인 시장에서 통용되는 통화가 될 수 있습니다. 리플 네트워크는 그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가장 거래하기 수월한 노드를 찾아 거래를 성사시켜 줍니다. 1,000억개의 리플코인이 리플 네트워크를 통해 발행되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 생성된 리플 코인에서 추가 발행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합니다. 1,000억개의 리플코인이 많아 보이지만 실제 경제적인 구조를 봤을 때 매우 많은 양은 아닙니다. 지급결제와 해외송금 시장의 전체 거래 금액을 살펴보면 오히려 리플코인의 전체 발행량은 적은 수준이라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습니다. 리플코인은 2012년부터 리플코인을 판매했습니다. 체계적으로 발행량을 관리하고 리플코인의 참여자들을 늘리기위해, 인센티브를 부여했습니다. 리플코인은 1,000억개의 리플코인을 모두 시장에 유통한 것이 아닙니다. 550억의 리플코인은 암호로 보호된 에스크로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글을 쓰고 있는 시점에서 리플재단에서 6,253,949,032개의 리플코인을 보유하고 있고, 38,739,144,847개의 리플 코인이 분배되어 있습니다. 리플 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리플코인의 현재 가격과 전체 볼륨, 거래 속도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설정작업 진행 중 (0) | 2018.05.09 |
---|---|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승인 도전 (0) | 2018.05.08 |
공개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 구조적 공통점 및 차이 (0) | 2018.05.05 |
리플코인의 구조와 작동원리 (0) | 2018.05.05 |
리플 코인이란 무엇인가? (0) | 2018.05.05 |